당근 네고 뜻 대체 무슨 뜻인가요?

당근마켓, 중고나라, 번개장터 등 중고 거래를 한번이라도 해본 경험이 있으시다면 "네고 가능하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게 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의미와 중고나라 시세조회 활용 방법도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당근-네고-뜻-썸네일
▲ 당근 네고 뜻

 

당근 네고 뜻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다양한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를 하다 보면 첫마디가 "네고 흥정되나요?" 또는 "네고가능?" 이라는 채팅을 흔히 접하게 됩니다.

여기서 네고(Nego)는 Negotiation(협상, 교섭, 절충, 협의)에서 앞 글자 Nego를 딴 말로 가격을 협상한다는 의미를 가졌는데요.

 

참고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협상"은 어떤 목적에 부합되는 결정을 하기 위해 여럿이 서로 의논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임금 협상, 협상을 벌이다, 협상에 응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적절한 네고는 서로 기분 좋게 마무리될 수도 있지만, "네고 반값 가능할까요?", "어디서는 이 가격에 팔던데 네고 좀 해주세요." 같은 터무니없는 요청을 받으면 거래하는 데에 있어 피로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중고나라 시세조회

 

만약 내가 책정한 가격이 적당한 금액인지 또는 내가 구매하고 싶은 상품의 시세가 궁금하다면 중고나라 시세 조회를 활용해보는 것이 좋은데요.

아래 버튼을 통해 중고나라 시세 조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데 페이지 검색 창에서 상품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상품의 대략적인 평균 가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판매 또는 구매할 시 시세를 참고하시면 거래하는 데에 있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아래의 "중고나라 시세조회 바로가기"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경우, 창이 제대로 넘어가지 않는 불상사가 생기니 스마트폰보다 컴퓨터를 이용해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시, 구글 포털 사이트에서 "중고나라 시세조회 시스템"을 검색하면 페이지가 나옵니다.

 

 

중고나라-시세조회-바로가기
▲ 중고나라 시세조회 바로가기

 

예시로, 쌀 10kg의 시세를 검색해 확인하면 52,500원으로 표시되는데요.

여기에서 등록가를 클릭하면 2025년 2월 28일에 52,500원에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판매가를 클릭하면 같은 날 53,000원에 판매된 내역을 비교하며 그래프로 볼 수 있으니 활용해 보세요.

 

중고나라-시세-조회-활용-방법-안내-예시로,-쌀-10kg의-시세를-검색해-확인하면-52,500원으로-표시되는데요.-여기에서-등록가를-클릭하면-2025년-2월-28일에-52,500원에-등록된-것을-확인할-수-있으며,중고나라-시세-조회-활용-방법-안내-판매가를-클릭하면-같은-날-53,000원에-판매된-내역을-비교하며-그래프로-볼-수-있으니-활용해-보세요.
▲ 중고나라 시세 조회 활용 방법

 

끝으로, 당근 네고 뜻과 중고나라 시세 조회 활용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 드렸는데요. 이 정보를 활용해 시세를 비교해 보고, 보다 똑똑하게 판매 또는 구매하는 여러분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