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택배를 이용할 때 주로 어디에서 이용하시나요? 우리의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하는 CU, GS25, 세븐일레븐에서도 택배를 받고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그 중 반택이라는 용어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이 글은 그 뜻과 이용 방법, 중고거래 신고 방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반택이 뭔가요?
반택은 반값 택배의 줄임말로 GS에서 제공하는 택배 서비스를 말합니다.
편의점 점포 물류망을 활용하는 반값택배는 일반 택배비의 절반 수준의 비용으로 365일 연중무휴이기 때문에 주말과 공휴일 언제 어디서든 가까운 GS25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인데요.
점포 간 물류 이동 시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일반 택배보다 배송 기간이 1~2일 더 소요됩니다.
예를 들어, GS25 충무로본점에서 GS25 신길역점으로 택배를 보낸다고 가정한다면, GS25 신길역점에 직접 방문하셔서 수령할 수 있습니다.
반택 보내는 법
주로 당근, 네이버 카페 내 거래, 중고나라, 번개장터 등에서 거래를 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반값택배.
직접 만나서 거래하기 어려운 경우나 우체국 또는 택배사 방문이 어려운 상황에서 아주 유용한데요.
저의 경험을 예로 들면, 한때 띠부씰을 수집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중복된 띠부씰은 당근에서 판매하기 위해 게시글을 올렸고, 대부분의 구매자가 멀리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무게도 많이 나가지 않는 물건 하나 때문에 직접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반값택배는 아주 유용했습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반값택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착점을 GS25 편의점으로 선택한 후, 포스트박스 장비가 설치된 GS25 편의점에서 운송장을 출력하여 카운터에 제시하고 접수하는 방식입니다.
반값택배는 선불 결제(선결제)만 할 수 있고, 물건을 수령할 때는 편의점 직원에게 알림톡으로 전송된 QR코드를 제시하면 완료됩니다.
참고로, CU에서는 "알뜰택배"(과거, 끼리택배, 일명 "끼택"), GS25에서는 "반값택배(반택)"라고 부르며, 세븐일레븐은 "착한택배"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GS25 반값택배 및 GS25 국내(일반) 택배 예약 방법을 사진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이외에도 GS편의점 택배 배송 조회 방법과 고객센터 이용 방법까지 정리했으니 아래 버튼을 참고하여 반값택배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해 보세요.

신고ᆞ피해구제 기관 -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 금융감독원
물건을 구매할 때 판매자가 올바른 상품을 보낼지 의심한 적 있으신가요?
과거에 중고나라에서 후드집업을 구매했다가 공책 5권과 신문지 뭉치를 택배로 받은 적이 있었는데요.
이와 같은 사기 피해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럴 때는 바로금융감독원(☎ 1332)에서 피해 상담 및 환급 문의하거나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ECRM)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을 통한 신고 과정을 알려드리면, 온라인 접수 후 경찰서 방문, 조사 진행, 사건 종결 순으로 이루어지는데요. 신고는 피해자 본인만 가능하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대리인 신고를 원할 경우 경찰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국민신문고를 이용해 신고 접수를 하실 수 있습니다.

끝으로, 반택(반값택배) 뜻과 이용 방법, 그리고 중고거래 사기 신고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반값택배는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이용법 덕분에 중고거래뿐만 아니라 소량의 물건을 보내거나 받을 때도 매우 유용한 서비스인데요. 다만, 택배 거래 시 사기를 당하는 경우도 있으니 피해를 입었다면 이 글을 참고해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중고거래 시 반값택배를 활용해 더 편리한 거래를 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