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불 선불 뜻은 무엇인가요?

온라인 쇼핑이나 중고 거래를 하다 보면 착불과 선불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두 개념을 혼동하거나 정확한 뜻을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요. 두 차이를 이해하면 택배를 보낼 때나 받을 때 혼란을 줄일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택배 예상 비용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곳도 알려드리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착불-&-선불-뜻-썸네일
▲ 착불 & 선불 뜻

 

착불의 뜻이 무엇인가요? 택배 선불 뜻이 뭐에요?

 

당근, 번개장터, 중고나라에서 택배를 이용할 때 "착불로 보내드릴까요?", "선불로 보내주세요." 같은 채팅을 주고 받을 때가 있는데요. 이때 정확한 의미를 알고 있어야 비용 부담이 누구에게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착불물건을 받은 후, 배송비를 택배 기사님께 지불하는 방법이며, 선불물건을 보내기 전에 배송비를 미리 지불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착불로 보냈다면 물건을 받는 사람이 택배비를 부담해야 하고, 선불로 보냈다면 판매자가 미리 택배비를 낸 것이라고 보실 수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착불"물건을 받은 후에 돈을 치르는 것"을 의미하며, 선불"일이 끝나기 전이나 물건을 받기 전에 미리 돈을 치르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택배 거래 시 착오를 줄일 수 있고, 사전에 배송비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니 서로 오해를 방지할 수도 있습니다.

 

우체국 택배 요금안내

 

택배를 보낼 때 미리 요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대부분의 중고 거래에서는 대한통운, 한진택배, 로젠택배, 롯데택배, 편의점 택배(CU, GS, 세븐일레븐, 이마트24)보다 우체국 택배를 조금 더 이용하실 것 같아 아래에서 간략히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우체국의 경우 공식 홈페이지에서 미리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아래 버튼을 통해 우체국 택배 요금을 미리 확인하면 무게와 거리 등에 따라 예상 비용을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으니 유용하게 사용해 보세요.

 

 

우체국-택배요금-바로가기
▲ 우체국 택배요금 바로가기

 

끝으로, 착불과 선불의 뜻 그리고 우체국 택배 요금 안내를 정리해 드렸는데요. 택배 요금을 미리 알아 둔다면 더 안전하고 깔끔하게 거래를 할 수 있겠죠? 앞으로 택배를 이용할 때 이 두 용어를 헷갈리지 않고 활용하는 여러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