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포는 무슨 뜻인가요?

중고거래를 해본 경험이 있다면 택포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 단어를 다르게 해석하기도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의미와 중고거래 시 주의할 점을 정리해 드립니다.

 

 

택포는-무슨-뜻-인가요-썸네일
▲ 택포 뜻

 

택포 뜻

 

일반적으로, 택포는 "택배비 포함"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평소에 중고거래를 자주 하는 편이라 "택포"라는 단어를 익숙하게 사용해 왔는데요. 보통 "택배비 포함"을 의미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최근에 황당한 상황을 겪게 되었습니다.

 

얼마 전 번개장터에서 중고 물품을 구매하려고 판매자와 가격을 조율하던 중, 판매자가 "택포 13"이라고 하시길래 빠르게 입금을 하고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당연히 택배비 포함 130,000원으로 이해하고 입금했습니다.

그런데 며칠 후 집앞에 택배가 도착했을 때 택배 기사님께서 착불 6,000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겁니다. 황당한 마음에 판매자에게 바로 연락을 취했습니다. "택포라고 하셨잖아요?"라고 묻자, 돌아온 답변은 더욱 황당했습니다.

"네, 택배로 포장했다고요." 순간 어이가 없어서 말이 나오지 않았고, 결국 착불 택배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 일을 겪고 보니 택포라는 단어를 다르게 해석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알게 되었는데요.

일부는 "택배비 포함"이 아니라 "택배 포장"을 뜻한다고 생각하고, 심지어 "상품 태그(택) 포함"이라는 의미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계신다고 합니다.

 

사실, 줄임말은 공식적인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 삼기 어렵지만 중고거래를 할 때는 "택배비 포함" 처럼 명확한 표현을 사용해야 겠다는 걸 절실히 깨달았습니다.

 

중고거래 시 주의할 점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려면 택포가 아닌 "택배비 포함"처럼 명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좋은데요.

거래 전에 배송 방법과 추가 비용이 있는지를 정확히 확인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판매자와 충분한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번외로, 한 가지 팁을 알려드리자면 온라인 중고거래를 진행할 때는 반드시 상대방의 사이버 사기 피해 신고 이력을 조회하는 것이 안전한데요. 아래 버튼은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상대방의 사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인터넷-사기-의심-전화-&-계좌번호-조회-바로가기
▲ 인터넷 사기 의심 전화 & 계좌번호 조회 바로가기

 

조회 방법은 간단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 계좌번호, 이메일 중 하나를 입력하고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되는데요.

조회 결과, "최근 3개월 내 사기 민원 3건 이상이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뜨면 비교적 안전한 거래 상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사기 이력이 있다면 거래를 중단하는 것이 좋겠죠?

이처럼, 조금은 번거롭지만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니 중고거래 전에 반드시 조회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거래대상-휴대폰-및-계좌번호-사이버-사기피해-신고여부-확인-조회-결과
▲ 거래대상 휴대폰/계좌번호 사이버 사기피해 신고여부 확인 조회 결과

 

끝으로, 택포 뜻과 중고거래 시 주의할 점을 정리해드렸는데요. 이번 일을 계기로 앞으로는 중고거래를 할 때 배송비 관련 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려고 하니 여러분도 거래 전에 꼭 확인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